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김은금 기자 | 양산시는 환경보호와 자원순환 실천을 위해 공공청사 내 각종 회의와 일상생활에서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컵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사뿐만 아니라 관내 문화체육센터와 대학교 등에도 텀블러 세척기를 설치해 시민과 학생들이 손쉽게 다회용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일상 속 실천을 축제와 각종 행사로 확산하기 위해 다회용컵 도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축제 현장에서 다회용품 사용을 늘리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 쾌적한 행사 환경 조성과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고자 힘쓰고 있다.
실제 지난 6월 7일부터 8일까지 열린 ‘2025 웅상회야제’에서는 다회용기 3,500개를 사용하며 본격적인 친환경 축제 운영의 포문을 열었다. 이어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열린 ‘2025 양산삽량문화제’에서는 다회용기 30,000개, 이와 함께 진행된 ‘2025 양산푸드페스티벌’에서는 다회용기 및 다회용컵 8,600개를 사용하며 관람객과 참여 상인 모두가 함께하는 친환경 축제를 구현했다.
또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개최되는 ‘2025 양산 동헌 빅쇼’에서도 다회용기 및 다회용컵 2,000개 사용을 계획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제 별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처럼 축제 현장에서 다회용기를 적극 도입함으로써 행사 기간 동안 수만 개의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거뒀으며, 깨끗한 축제 환경 조성과 함께 시민들의 자원순환 참여 분위기 조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양산시 관계자는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다회용기 사용 문화 확산은 일회용품을 줄이는 가장 실질적인 방법”이라며 “특히 다회용기는 사용 후 시민들의 자발적인 반납 참여가 있어야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는 만큼 모두가 함께 실천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도 1회용품 없는 친환경 행사 운영을 목표로, 지역 축제뿐 아니라 공공기관 행사, 캠페인 등으로 다회용기 사용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분실과 낭비를 최소화하는 체계적인 운영을 통해 자원순환 도시 양산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