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기자 | 울산 남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도시재생플러스연구회는 7일 3층 의회상황실에서 남구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방안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연구단체 소속 이정훈(대표의원), 이소영, 박인서, 최덕종 의원을 비롯해 연구용역을 맡은 지방발전연수원 박미라 원장, 울산대학교 김윤승 교수 등 연구진이 참석해 용역 보고와 과업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연구용역은 남구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완료 시점이 도래하는 가운데 남구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의회 차원의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과업 기간은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총 4개월이다.
주요 과업 내용은 △남구 도시재생사업 현황 분석 및 사후관리 이슈 도출 △국·내외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동향 및 사례 분석 △전문가·주민 의견 수렴을 통한 주민주도 거버넌스 구축 △재원 조달 전략 포함한 실행 가능한 사후관리 로드맵 제시 등이다.
현재 남구에서 완료됐거나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지는 삼호동, 신정3동, 옥동, 신정1동이며, 공영주차장과 게스트하우스, 지역아동센터 등 해당 지역에 조성된 거점시설만 삼호동 4개소, 옥동 2개소, 신정3동 6개소, 신정1동 1개소 등 총 13개소이다.
이날 참석한 의원들은 “도시재생사업은 종료 이후에도 거점시설을 기반으로 지역 공동체가 중심이 돼 지역 발전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라며 “사업 효과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사후관리 조례 제정 등을 통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재쇠퇴 방지 방안, 거점시설 운영 관리 방안, 주민 역량 강화 및 공동체 활성화 방안, 남구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거버넌스 강화 방안 마련도 주문했다.
이정훈 대표의원은 “도시재생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사업 종료 후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이번 연구 용역을 통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후관리 정책을 마련하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