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50대 지적장애 노숙인을 변화시킨 성북구 동선동, 민원해결·복지사각지대 해소 동시에

차가운 민원을 따뜻한 변화로 바꾸다.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김봉순 기자 | 서울 성북구 동선동주민센터가 주거지 없이 폐지를 모으며 생활하던 노숙인을 대상으로 주거 지원과 복지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며, 주민 민원 해소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동시에 이룬 모범사례를 만들었다.

해당 사례의 주인공인 A씨는 50대 중장년층으로, 심한 지적장애가 있는 기초생활수급자다. 지난 4월부터 일정한 거처 없이 동선동 일대 거리에서 폐지를 수거하며 생활해 왔다. 하지만 고정된 주거지가 없어 주거급여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었고, 외부의 개입이나 지원을 극도로 경계해 각종 복지 서비스 접근도 사실상 차단된 상태였다. 이로 인해 지역 내 폐지 적치, 악취, 보행 불편 등 주민 민원이 여러 차례 제기됐으나, 현실적인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동선동주민센터는 단순한 행정 조치가 아닌 10차례 이상 현장 방문과 관계 형성 중심의 접근을 시도했다. 도시락 제공, 일상 대화, 날씨 안내 등 일상적인 소통을 통해 심리적 거리를 좁혀갔고, 마침내 A씨가 내뱉은 “비라도 피하고 싶다”는 한마디에서 주거 지원의 실마리를 찾았다.

동은 우선 목욕 서비스를 연계한 뒤, 고시원 입소를 재제안했다. 초기에는 고시원 측에서 “노숙인은 곤란하다”라며 입소를 거부했지만, 주민센터 담당자의 지속적인 설명과 설득을 통해 입소가 성사됐다.

이 과정에서는 경찰서, 구청 복지정책과, 가로정비팀, 지역 복지관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의 및 간담회를 통해 민·관이 역할을 분담하고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그 결과, 대상자의 자발적인 변화와 주민 민원 해소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이뤄냈다.

입소 이후 A씨는 주거급여 지원을 받게 됐으며, 속옷·계절 의류, 밑반찬 등 식료품도 함께 지원받고 있다. 현재는 매일 낮에 질서 있는 폐지 수거 활동을 이어가며 일상성과 자존감을 서서히 회복해 나가고 있다.

동주민센터 관계자는 “그분이 고시원 방에 처음 들어가며 문을 닫을 때, 작게 웃으셨습니다. 그게 저희에겐 가장 큰 보람이었어요.”라고 말했다.

손서영 동선동장은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선제적 개입과 주민과의 소통을 병행한 대응이 어떻게 갈등을 치유하고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하며, 동 단위 밀착형 사례관리 모델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