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김윤이 기자 |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옥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17일 보건환경연구원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기오염경보 문자서비스’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구조 개선과 체계적인 홍보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김옥순 의원은 “도민의 건강 보호를 위해 그동안 제안해 온 ‘기후행동·기회소득 앱’ 연동을 실제 반영해 접근성을 높이려 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현재 방식은 배너 클릭 후 외부 페이지로 이동해 개인정보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구조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연동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앱 로그인 정보를 활용한 자동가입 등 가입 편의를 높일 수 있는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배너 클릭 수, 가입 전환율, 게시 전후 가입자 증감 등 주요 지표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정책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며 “성과관리와 함께 31개 시·군으로의 홍보 확대와 QR코드·SNS 등 다양한 협업 홍보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기후행동·기회소득 앱’ 배너 노출 이후 약 2천 명의 가입 증가가 확인됐다”며 “앞으로 시군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도민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홍보 방안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옥순 의원은 “향후 도민 건강 보호와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대기오염경보’ 알림이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후행동·기회소득 앱’과의 연동 방식 개선과 시·군과의 협업 홍보 강화 등 실효성 있는 운영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