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국용호 기자 | 스웨덴 스톡홀름의 놀이터에서는 장애, 연령, 성별,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함께 뛰어논다. 싱가포르의 지하철역에는 치매 환자들을 위해 익숙한 색과 기호가 적용돼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다. 태국 방콕은 관광 인프라 전반에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적용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여행지를 만들고, 독일 함부르크는 언어 장벽을 없애기 위해 ‘쉬운 언어 뉴스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처럼 세계 도시의 현장에서 발견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UD) 사례들이 이제 서울 시민에게도 소개된다.
서울디자인재단은 해외 거주 시민이 직접 발굴한 사례를 모아 ‘2025 유니버설디자인 트렌드 리포트’를 기획, 총 15건의 글로벌 우수사례를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전 세계 도시에서 실천되는 UD 사례를 국내에 소개해 서울의 UD 정책 고도화와 시민 인식 확산을 이끌기 위해 마련됐다. 재단은 그동안 UD컨설턴트 사업, 초등교육 키트 대여, 현장 실행화 사업 등을 통해 UD 저변 확대에 힘써왔으며, 이번에는 해외 거주 한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현장 기반 리포트를 공모·심사·선정했다.
최종 심사를 거쳐 선정된 사례는 ▲스웨덴 스톡홀름 포용 놀이터 ▲싱가포르 치매 환자 친화 교통 환경 ▲태국 방콕 관광 인프라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중국 베이징 패럴림픽 유산 기반 도시정책 ▲독일 함부르크의 쉬운 언어 뉴스 등 12개 도시의 15건이다.
접수된 리포트들은 단순 제안이 아닌,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UD 사례를 기반으로, 공간·행사·제품·서비스·정책 등 다양한 주제 중 자유롭게 선택해 리포트를 제출하도록 했다. 그래서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실질적 사례 중심의 콘텐츠로 직접 방문해 보지 않고는 접할 수 없던 새로운 사례들이 다수 접수됐다.
선정된 3개 대륙 10개국 12개 도시의 15건의 UD 우수사례는 하반기 시민 대상 콘텐츠로 서울디자인재단 홈페이지와 SNS에 8월 말부터 공개하고 있다.
공개될 선정 UD 트렌드 리포트는 스웨덴 스톡홀름의 포용적 놀이터 디자인, 싱가포르의 치매 환자를 위한 교통 환경 디자인, 태국 방콕의 관광 인프라에 적용한 인클루시브 디자인, 중국 베이징의 패럴림픽 유산 기반 무장애 도시정책, 독일 함부르크의 언어 장벽 해소를 위한 간단 언어 뉴스 사례 등 12개 도시의 15개 UD 우수 사례로 각 도시의 특색이 적용된 사례들을 만나 볼 수 있다.
트렌드 리포트는 재단 홈페이지와 SNS 채널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8월 말부터 매주 새로운 리포트가 소개되고 있다.
그러면 서울에서는 어떤 유니버설디자인 사례가 있을까? 노후화된 도서관을 개선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유공간으로 조성하는 '서울시 금천구참새작은도서관 시설개선' 사업과 낮은 담장으로 인해 쓰레기 투기가 잦았던 해당 공간을 개선한 '서울시 도봉구 방학3동 마을 커뮤니티' 사업이 있다. 이외에도 '광장시장 공중화장실 개선' 사업도 꼽을 수 있다.
올해는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사업을 통해 서울시 내 공공시설의 환경개선사업 및 재난과 저출산 고령화 등의 동시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에 디자인 전문가를 컨설턴트로 매칭하여 총 9개 과제에 걸쳐 장애인·노인·환자·일반 시민 모두를 위한 공간과 서비스 개선 작업을 수행 중이며, 6월부터 본격적인 현장 검토 및 설계 자문 및 확정, 시공 자문 활동 중이다.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는 “유니버설디자인은 단순히 공간의 편의성을 높이는 개념을 넘어,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회복하고 ‘사람 중심 도시’의 풍경을 만드는 핵심 가치”라며 “해외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단이 추진하는 다양한 UD 사업을 통해 일상의 장벽을 없애는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