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국용호 기자 | 서울시가 노후 저층주거지 개선을 위해 모아타운 사업 4개 지역을 확정해 총 5,483세대 주택공급에 나선다. 용도지역 상향, 도로 확폭, 생활 SOC 확충 등이 함께 이뤄져 주민 체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11월 10일 제16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중랑구 신내1동 493-13일대 모아타운’ 외 3건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통과된 안건은 ▲중랑구 신내1동 493-13번지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묵2동 243-7번지 일대 모아타운 ▲광진구 자양2동 649번지 일대 모아타운 ▲관악구 청룡동 1535번지 일대 모아타운으로, 사업추진 시 모아주택 총 5,483세대(임대 1,405세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중랑구 신내1동 493-13번지 일대 모아타운은 모아주택 2개소 추진을 통해 총 878세대(임대 232세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지역은 노후 건축물과 협소한 도로 등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했던 곳으로, 모아타운 계획 결정으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이번 계획은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전면 상향해 사업성을 높였다. 도로 여건도 크게 개선한다. 망우로63길을 기존 6m에서 11m로 확폭해 보차혼용 도로를 양측 보도를 갖춘 진출입로로 바꾼다. 망우로63길에는 공동이용시설을, 용마산로변에는 연도형 가로활성화 시설을 배치해 지역 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공간을 만든다.
대상지 북측 송림길(6m→10m)은 인접한 경의중앙선·경춘선 상부 공원화 사업과 연계해 보행친화가로로 개선된다. 향후 지역 주민에게 쾌적하고 자연친화적인 가로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중랑구 묵2동 243-7번지 일대 모아타운은 모아주택 4개소 추진으로 총 1,826세대(임대 526세대 포함)가 공급된다. 노후·불량 건축물 비율이 69.1%에 달하는 지역으로,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안)이 결정으로 주거환경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근 중랑천로변 남-북 축으로 모아타운 대상지 및 신속통합기획(중화6구역) 등 개발계획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주민들의 개발에 대한 기대감과 요청이 높은 곳이다.
이번 계획은 기존 제2종·제2종(7층 이하)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사업성을 높였다. 모아타운 내부 주요 도로를 확폭해 교통 여건을 개선한다. 봉화산로3길(8m→12m), 중랑천로56길(6m→8m) 확폭과 함께 건축한계선 3m를 지정해 공공보행통로를 조성하고 보행친화적 환경을 만든다.
인근 묵현초·신묵초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 환경 확보를 위해 통학로변 보도를 확폭·신설하며 충분한 보행공간도 마련한다. 이번 사업으로 지역 주민의 보행 안정성과 주거 쾌적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진구 자양2동 649번지 일대(95,352.8㎡)는 모아주택 5개소를 통해 기존 1,424세대에서 901세대 늘어난 총 2,325세대(임대 583세대 포함)를 공급한다. 한강변 주거환경 개선과 함께 주택공급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이 지역은 노후건축물 72.9%, 반지하 주택 61.3%에 이르는 노후 저층 주거밀집지역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했던 곳이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에서는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 마련 시 용도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주택공급을 활성화하고 임대주택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뚝섬로54길을 기존 6m에서 14m로, 인근 도로는 최대 12m까지 확폭해 교통 흐름과 진출입 여건을 개선한다. 보도를 신설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구역 내 어린이공원(1,768㎡)도 새로 만든다. 기존 사회복지시설 자양노인복지관 기능은 그대로 유지해 주민 생활편의를 강화할 계획이다.
한강변 도시경관을 고려해 뚝섬로52길·56길에 건축한계선을 설정해 열린 조망축을 확보하고, 주요 가로변 활성화시설을 배치한다. 모아타운 추진으로 한강변 양호한 입지를 살려 탁월한 조망과 경관을 확보하면서도, 주변 도시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주거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관악구 청룡동 1535번지 일대(92,420.1㎡)는 모아주택 4개소를 통해 총 454세대(임대 64세대 포함)가 공급된다. 분절된 도로체계와 높은 경사로 개발이 어려웠던 지역이나,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으로 체계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쑥고개로변 저층부에는 근린생활시설을, 장군봉5길·7길변 저층부에는 공동이용시설을 조성해 쾌적하고 활력 있는 주거환경을 만든다.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에서 용도지역을 상향해 사업성을 확보하고, 건축한계선(3~5m) 지정 및 신설 도로계획으로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이번 계획은 자율정비구역 가이드라인 마련으로 지역 여건에 맞는 정비 방향을 설정해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과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있는 정비체계를 구축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모아타운 4곳 확정으로 노후 저층주거지가 5,483세대 쾌적한 생활공간으로 거듭나게 된다.”며 “용도지역 상향, 도로 확폭, 생활 SOC 확충 등 적극적인 지원으로 주거환경 개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