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박용남 기자 | 고창군과 올댓해리티지연구소가 14일 오후 고창문화원에서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학술대회’를 열었다. 학술대회는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역사적 가치와 위상 재조명’을 주제로 열렸다.
정성권 교수(단국대)는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호남 서부지역의 경제력이 만들어낸 11세기 초대형 불상으로 법상종 교단의 대표적인 마애불이라는 점, 주변지역의 조창 운영과 도요지 운영을 통해 얻어지는 경제적 이득과 밀접한 관련 있는 불상이라는 점 등에서 지역문화사적, 불교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음을 고찰했다.
엄기표 교수(단국대)는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보존과 활용방안’ 발표를 통해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보존과 활용과 더불어, 마애여래좌상 그 자체를 위한 보존과 활용 정책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밖에 방민아 연구원(전주문화유산연구원)이 ‘선운사 동불암지의 고고학적 발굴 성과-마애여래좌상과 관련하여’, 최인선 교수(순천대)는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양식과 특징-동학의 석불비기와 관련하여’, 오강석 위원(국가편찬위원회)은 ‘선운사 동불암지 동면불의 설치 구조 연구’, 송화섭 교수(전 중앙대) ‘문헌에 나타난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명칭 검토’를 발표하며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의 국가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위상을 다각적으로 재검토했다.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고려시대 조성된 마애불로 고려 시대의 미학과 깊은 신앙심을 품고, 격동의 근대사 속 동학농민혁명의 숭고한 염원까지 묵묵히 지켜온 고창의 '정신적 지주'이자,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로 평가된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앞으로도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에 대해 문헌 고증, 지역 커뮤니티와의 연계된 활용 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단순한 보존을 넘어 생생한 문화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