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자인국제포럼, 사람 중심 소프트시티 철학으로 글로벌 도시의 미래를 밝히다

  • 등록 2025.09.19 18:10:54
크게보기

‘디자인으로 만드는 글로벌 삶의 품격’ 주제로 19일(금) 서울디자인국제포럼 개최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국용호 기자 | ‘2025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이 19일 13시,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열린다. 올해 6회차를 맞은 이 포럼은 ‘디자인이 도시를 바꾼다’라는 기조 아래, 국내외 주요 연사들과 함께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을 모색해 왔다.

올해 주제는 ‘매력적인 도시 서울 : 디자인으로 만드는 글로벌 삶의 품격’이다. 디자인이 시민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키고, 서울을 매력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도시로 발전시킬 수 있는지 글로벌 관점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먼저 사람 중심 도시 디자인으로 잘 알려진 세계적인 도시 전략 및 디자인 컨설팅 기업인 겔(GEHL)의 CEO 헬레 소홀트가 ‘사람과 지구를 위한 도시 디자인 : 비전에서 실행까지’라는 주제로 기조세션을 맡는다.

헬레 소홀트는 겔(GEHL)의 CEO이자 공동 설립자로, 샌프란시스코의 마켓 스트리트(Market Street), 상하이의 황푸 워터프론트(Huangpu Waterfront), 시드니의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인간 중심 디자인을 반영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코펜하겐이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로 선정된 배경에는 국내에서도 사람 중심 도시 철학으로 잘 알려진 얀 겔의 비전이 자리하고 있다. 헬레 소홀트는 이번 발표에서 사람이 먼저인 ‘소프트 시티’ 전략과 얀 겔의 철학을 연계해 서울의 미래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핵심 기반으로서 디자인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어 오세훈 시장이 헬레 소홀트,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의 우베 크레머링 회장과 ‘소프트시티와 글로벌 디자인 서울’을 주제로 서울이 글로벌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디자인 전략에 대해 ‘소프트시티’ 관점에서 논의한다.

'세션 1 : 디자인 협력과 글로벌 리더십'

세션 1 ‘디자인 협력과 글로벌 리더십’에서는 글로벌 협력과 파트너십을 통한 디자인 리더십의 가능성을 현실감 있게 모색하는 논의를 이어간다.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의 우베 크레머링 회장이 ‘신뢰를 디자인하다: iF 디자인 어워드가 형성하는 글로벌 디자인 문화’를 ▲로마 사피엔자대학교 교수 겸 큐물러스 협회 회장인 로렌초 임베시가 ‘디자인: 포용의 문화-협력적 도시 혁신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로레알코리아의 소지혜 부문장이 ‘지속가능성을 위한 로레알의 협력적 디자인’을 각각 발표한다.

우베 크레머링 회장은 세계적 권위를 지닌 iF 디자인 어워드를 이끌고 있다. 발표에서는 iF 디자인 어워드가 신뢰와 국제 협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디자인 문화를 형성해 온 과정을 소개하며, 서울이 이를 통해 세계적 디자인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로렌초 임베시 교수는 국제 디자인 교육 네트워크 ‘큐물러스 협회(Cumulus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하며, 전 세계 디자인 학계와 산업계를 연결하는 협력 플랫폼을 주도해 왔다. 이번 발표에서는 로마의 국제 협업 사례를 소개하며, 참여·혁신·문화교류가 디자인 교육 네트워크를 통해 도시 공동체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한다.

소지혜 부문장은 글로벌 뷰티 산업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전략을 실천하고 있다. 발표에서는 시민 참여로 만들어진 지속가능한 디자인 사례와 다양한 협력을 통해 브랜드와 도시, 사회를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소개할 예정이다.

'세션2 : 도시 혁신을 이끄는 디자인의 힘'

세션 2 ‘도시 혁신을 이끄는 디자인의 힘’에서는 도시 혁신과 시민 참여를 촉진하는 디자인의 힘을 조명한다. ▲최인규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관이 ‘사람, 도시, 미래를 잇는 디자인: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중심으로’를 ▲뉴욕시 서비스디자인 스튜디오 디아나 유 부국장이 ‘커뮤니티에 의한 디자인: 뉴욕시 정부 내 공동체 권한 강화를 위한 실천’을 ▲주식회사 미션잇 김병수 대표가 ‘10%와 함께하는 디자인’을 발표한다.

최인규 디자인정책관은 ‘디자인서울’ 비전 아래, 서울을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TOP5 디자인 도시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세심하고 포용적인 디자인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사람과 도시,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핵심 도구로 발전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소개할 계획이다.

디아나 유 부국장은 시민 참여 기반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 정책 혁신을 선도해왔다. 발표에서는 뉴욕시가 복잡한 행정 시스템을 극복하며 추진한 커뮤니티 중심 프로젝트 사례와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상세히 공유하고, 시민 참여가 도시 혁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풍부하게 보여줄 예정이다.

김병수 대표는 그동안 소외됐던 장애인과 고연령층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이 단순한 심미적 가치에 머물지 않고, 신체적·정신적 특성과 관계없이 누구나 접근 가능해야 함을 강조해왔다. 이번 발표에서는 소수의 경험을 출발점으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을 구현한 사례를 공유하며, ‘10%와 함께하는 디자인’이 서울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제시한다.

세션 발표 이후에는 김주연 서울특별시 제1대 총괄 공공디자이너를 좌장으로 다양한 질문과 통찰을 공유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서울만의 도시 정체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전략,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도시 디자인 해법,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등 여러 주제가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기조세션에 앞서 시민이 바라는 디자인 매니페스토가 진행된다. 이현성 홍익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아 행사의 취지와 목적을 소개하고, 청년·외국인·디자이너 등 다양한 배경의 시민 대표들이 참여해 각자의 목소리를 전한다. 참가자들은 디자인이 도시의 미래와 시민의 삶을 바꾸는 힘이라는 데 공감하며, 공동의 실천 의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시민의 삶에서 출발한 다양한 목소리를 모아 정책과 도시 비전으로 확장하는 상징적 장면이 될 예정이다. 나아가 서울이 세계적 디자인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시민 공감과 참여가 핵심 가치임을 재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은 포럼 누리집과 서울시 공식 유튜브(국문/영문)를 통해서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포럼 누리집에는 서울시가 추진해온 다양한 디자인 정책과 포럼의 발표 자료, 참여 연사 인터뷰 등 150여 개의 콘텐츠가 수록돼 있어 시민 누구나 원하는 자료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포럼은 디자인계의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들을 수 있는 귀한 기회”라며, “디자인은 통역이 필요 없는 국제언어인 만큼 서울시는 디자인을 통해 약자와 동행하고, 세계 도시와 함께 성장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국용호 기자 kook2688@hanmail.net
Copyright @한민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본사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가천중앙1길64, 106호 | 대표전화 : 1588-1058 | 팩스 : 031-691-6088 서울본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22. 4층 404호 | 전화 : 1588-1058 | 팩스 : 031-691-6088 법 인 명 : 주식회사 한민신문사 | 제호 : 한민일보 | 사업자번호 : 815-88-01919 등록번호 : 경기, 아52684(등록일 : 2017-03-06) / 경기, 가50089(창간일 : 2005-07-07) / 안성, 라00028(등록일 : 2017-01-09) 발행인겸 대표 : 유한희 | 편집국장 : 김윤이 ,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성훈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