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무단주차 전동킥보드 신고… `서울스마트불편신고앱` 에서 편리하게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정차 위반 즉시 신고메뉴 신설, 전용 신고시스템으로 바로 연결

 

한민일보 서울포커스 국용호 기자 | 길가에 무단으로 방치돼 통행에 불편을 주던 전동킥보드를 이제 스마트폰 앱으로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21일부터 생활민원플랫폼 ‘서울스마트불편신고앱’에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정차 위반 신고메뉴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클릭하면 시가 운영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신고시스템으로 바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기존 ‘서울스마트불편신고앱’에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신고 버튼이 따로 없어 시민들이 마땅한 경로를 몰라 신고를 포기하거나 포털사이트에서 웹사이트를 따로 검색 후 신고하는 등 불편이 컸던 것이 사실이다.

실제 지난해 ‘스마트불편신고앱’을 통해 접수된 민원은 총 101만 4,301건 중 교통 분야가 72만 9,984건(7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은 195건에 불과했다.

신고 방법도 간단하다.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PM)을 발견하면 스마트폰으로 신고 앱 실행 후 생활불편신고 ‘교통’ 하단에 펼쳐지는 ‘개인형 이동장치(PM)’ 터치하면 된다. 그런 다음 킥보드에 부착된 QR코드를 찍으면 킥보드 정보가 확인되고 위치와 위반 사진 등을 업로드하면 신고가 완료된다.

신고 대상은 도로교통법상 주차·정차가 금지된 구역에 방치된 전동킥보드다. 개인형 이동수단(PM) 전용 주차 공간이나 차량의 주정차가 허용되는 이면도로는 제외된다.

시는 개인용 이동장치(PM) 이용자가 늘면서 보행로, 버스정류소 등에 무분별하게 방치되는 사례도 증가해 보행자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신고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으로 시민 불편을 줄이고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이번 서비스 확대 목적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시민 누구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도시 문제 해결에 힘을 모으는 ‘참여기반 행정’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 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확한 신고 경로를 몰라 관련 없는 창구로 민원을 접수하거나 중복 신고로 인한 행정력 낭비를 막고 민원 처리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가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신고는 18만 1,278건이며 메뉴생성 등 앱 활성화로 신고 건수는 더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가 지난 2013년부터 운영 중인 생활민원플랫폼 ‘스마트불편신고앱’은 불법주정차를 비롯해 쓰레기 투기, 시설물 파손, 공공장소 불편사항 등 약 30여 개 분야에 대한 민원 접수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신고 가능 항목은 교통, 가로정비, 청소, 도로, 공공시설 불편 등 30여 개로 최근 3년간 누적 신고만도 300만 건에 이른다. 이번 전동킥보드 민원 연계는 민원 수요에 맞춘 실효적 개선 조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마트불편신고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폰), iOS(애플) 앱스토어(아이폰), 원스토어(안드로이드폰)에서 검색한 후 설치하면 된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복잡한 절차와 불필요한 규제를 발굴·개선해 디지털 민원서비스를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바꾸는 것이 서울시 디지털 행정의 방향”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편의를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