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일보 서울포커스 임철현 기자 | 대구광역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고신뢰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검증·확인 지원’에 선정돼 국비 144억 원을 확보하고 비수도권 최초로 고신뢰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기반 조성에 나선다.
‘고신뢰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검증·확인 지원’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25년부터 5년간 총 212.25억 원(국비 144.75억 원, 시비 60억 원, 민자 7.5억 원)을 투입해 비수도권 팹리스 기업의 고신뢰 반도체 개발지원을 위한 사업이다.
이에는 △지원센터 구축 △반도체 검증·확인(Verification & Validation) 장비 및 툴 마련, △검증·확인 프로세스 확립, △검증용 IP 활용, △시제품을 통한 검증, △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 등을 포함한다.
사업의 주관기관인 경북대학교 첨단기술원은 도심융합특구 내 위치한 대구시청 산격청사 201동에 ‘(가칭)고신뢰 반도체 개발지원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며, 비수도권 팹리스 기업들의 고신뢰 반도체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종합 지원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도 참여해 반도체 검증·확인 지원, 시제품 검증 지원, 반도체 설계검증 전문 교육,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전자화, 전동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반도체는 자동차, 로봇, 의료기기, 자동화 설비 등 다양한 첨단 산업에서 핵심 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의 기능 장애나 고장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 확보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능안전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줄이기 위한 개념으로,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고 설계 단계에서 보완하는 등 예방 중심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산업 분야별로 정해진 국제 표준을 엄격히 준수해야 하며, 특히 자동차를 비롯한 안전이 중요한 분야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이러한 기준에 맞춰 개발돼야 한다.
이처럼 기능안전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대기업들은 막대한 기술력과 인적 자원을 투입해 기술 개발과 함께 검증 및 인증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중소 팹리스 기업들은 자본과 인력 부족 등으로 대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가의 장비/툴 도입, 복잡한 설계검증 절차, 까다로운 인증 과정까지 독자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구시는 본 사업을 통해 비수도권 중소 팹리스 기업들이 독자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반도체 검증·확인 장비와 툴을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난 2월 구축한 ‘지능형 반도체 개발지원센터’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팹리스 전주기 지원체계를 완성함으로써, 대구를 비수도권 팹리스 산업의 성장 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고신뢰 반도체 사업 선정을 통해 지역의 시스템반도체 산업기반을 한층 강화하고, 기능안전 지원체계 확보를 통해 중소 팹리스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